EJS에서 React.js로 전환: 유저 관리와 외부 로그인 구현 고민하기
기존 EJS에서 React.js로 전환해야 할까?
EJS 기반으로 이미 페이지가 렌더링되고 있는 상황에서, 유저 관리 기능이나 외부 계정 로그인 등 새로운 기능을 추가하려 한다면 React.js로 프론트엔드를 재구축하는 것이 효율적인지 고민될 수 있습니다. 이 글에서는 React.js 전환의 장점, 단점, 그리고 대안적인 접근 방법을 살펴보겠습니다.
React.js로 재구축하는 장점
1. 더 나은 사용자 경험 (UX) 제공
- React는 SPA(Single Page Application)를 지원하므로, 페이지를 새로고침 없이 동적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습니다.
- 사용자와의 상호작용(예: 입력 검증, 알림, 로딩 상태 관리 등)이 부드럽고 반응성이 뛰어납니다.
2. 유지보수와 확장성
- React의 컴포넌트 기반 아키텍처는 코드 재사용성을 높이고, 유지보수를 단순화합니다.
- 새로운 기능(예: 대시보드, 유저 프로필 등)을 추가할 때, 독립된 컴포넌트를 설계하여 시스템에 무리 없이 통합할 수 있습니다.
3. 현대적인 툴체인 및 생태계 활용
- React는 풍부한 라이브러리 생태계를 가지고 있으며, Redux, Context API 등으로 상태 관리를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습니다.
- Tailwind CSS, Material-UI 등 다양한 스타일링 옵션을 쉽게 통합할 수 있습니다.
- REST API 또는 GraphQL을 통해 백엔드와의 데이터 통신을 원활히 처리할 수 있습니다.
React로 재구축 시 고려할 점
1. 학습 곡선
- React와 함께 사용하는 기술들(상태 관리, 라우팅, API 통신 등)에 대한 학습 시간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.
- 특히 팀원 중 React 경험이 부족하다면 도입 전에 충분한 준비가 필요합니다.
2. 초기 개발 비용
- 기존 EJS 기반 프로젝트를 React로 전환하려면 초기 작업량이 상당히 많습니다.
- 페이지 디자인 및 기능을 다시 작성해야 하며, 서버-클라이언트 데이터 통신 구조(API 설계 등)를 새로 구축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.
3. 서버사이드 렌더링 필요 여부
- 기존 EJS로 구성된 프로젝트는 서버사이드 렌더링(SSR)을 기본으로 사용하고 있을 가능성이 큽니다.
- React로 전환 시 SSR이 필요한 경우에는 Next.js와 같은 React 기반 SSR 프레임워크를 사용하는 것이 효율적입니다.
React로 전환이 적합한 경우
React.js로 프론트엔드를 재구축하는 것이 특히 적합한 경우는 다음과 같습니다:
-
프로젝트가 확장 중
새로운 기능이 많이 추가되고, UI 복잡도가 증가하고 있다면 React가 더 나은 확장성을 제공합니다. -
반응형 UI와 동적 인터페이스가 중요
유저 관리, 실시간 알림, 외부 계정 연동 등은 동적인 인터페이스가 요구됩니다. 이런 경우 React가 더 적합합니다. -
장기적인 유지보수가 중요
프로젝트가 커질수록 코드 관리가 어려워질 수 있는데, React의 컴포넌트 기반 설계는 이를 완화합니다. -
백엔드와 클라이언트 분리가 필요
React를 사용하면 프론트엔드와 백엔드를 독립적으로 관리할 수 있어 팀 간 협업과 배포가 쉬워집니다.
EJS를 유지하면서 새로운 기능 추가
EJS를 유지하면서 새로운 기능을 추가할 수도 있습니다. 다음 방법이 가능합니다:
1. React를 부분적으로 도입
- 기존 EJS 템플릿을 유지하면서, 특정 UI 영역에만 React를 삽입할 수 있습니다.
- 예를 들어, 유저 관리 대시보드나 로그인 모달과 같은 동적 기능만 React로 구현하고, 나머지는 EJS로 유지.
<!-- views/index.ejs -->
<div id="user-dashboard"></div>
<script src="/static/react-bundle.js"></script>
// React 컴포넌트 렌더링
import React from 'react';
import ReactDOM from 'react-dom';
import UserDashboard from './components/UserDashboard';
ReactDOM.render(<UserDashboard />, document.getElementById('user-dashboard'));
2. 프론트엔드 라이브러리 도입
React를 전환하지 않고도, jQuery 또는 Vue.js 등 가벼운 라이브러리를 도입하여 부분적으로 동적인 기능을 추가할 수 있습니다.
결론
React.js로 전환이 적합한지 여부는 다음에 따라 결정됩니다:
- 프로젝트의 규모와 복잡성: 규모가 크고 장기적인 유지보수가 중요하다면 React로 전환을 고려하세요.
- 기존 시스템과의 통합 비용: 이미 잘 작동하는 EJS 기반 시스템이 있다면 React로 전환하는 데 비용이 많이 들 수 있습니다.
- 추가 기능의 요구사항: 유저 관리, 외부 계정 로그인 등에서 동적 UI가 필요하다면 React 전환이 효율적입니다.
만약 장기적으로 확장 가능한 구조가 필요하다면 React로 재구축하고, 그렇지 않다면 EJS 기반으로 필요한 기능만 추가하는 방식도 현실적인 선택입니다.
Leave a comment